서울시의 '마음 편의점', 외로움이라는 팬데믹에 맞서다

한국 이야기

16/07/2025 23:50

Bà Eom Mi-hui sử dụng ghế mátxa tại trung tâm cộng đồng ở Dongdaemun, Seoul, trong tháng 7. Ảnh: Guardian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한 커뮤니티 센터 3층.
무더운 7월, 한여름의 열기를 피해 조용하고 시원한 공간 속에서 안마의자가 웅웅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터치형 보드게임의 삐 소리와 조용한 대화, 책장을 넘기는 소리가 공간을 채웁니다.

이곳은 서울시가 운영하는 ‘마음 편의점’입니다. 육체적, 정신적으로 지친 시민들이 자유롭게 찾아와 휴식을 취하고, 라면을 끓여 먹거나, 영화를 감상하고, 심리 상담도 받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무엇보다 누구와 대화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점이 이곳의 특징입니다. 소극적인 교류조차 외로움을 이겨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취지로 마련된 공간입니다.

서울의 1인 가구 비율은 지난 20년 사이 16%에서 40%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2022년 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62%가 외로움을 느끼고 있으며, 서울시 추산 약 13만 명의 청년이 사회와 단절된 채 생활하고 있습니다.

Người đến trung tâm xem phim, nghỉ ngơi. Ảnh: Guardian

전국적으로는 ‘고독사’라 불리는 사례가 2023년 한 해에만 3,600건 이상 발생했습니다. 이는 장기간 홀로 지내다 발견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말 오세훈 시장 주도로 ‘서울은 외롭지 않다’는 5개년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총 예산은 4,513억 원(약 3억 2천5백만 달러)이며, 외로움, 낮은 행복지수, 자살률, 우울증 등 사회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합니다.

Yoo Dong-heon, người giám sát hoạt động tại cửa hàng tiện lợi cho tâm hồn ở Dongdaemun, đang thực hiện bài đánh giá ngắn gọn về sự cô đơn. Ảnh: Guardian

동대문 마음 편의점은 올해 3월 시범 운영을 시작한 4개소 중 하나입니다. ‘편의점’이라는 단어는 한국 사회에 친숙하고 접근성이 높은 이미지를 살려 외로움과 관련된 사회적 낙인을 줄이기 위한 의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방문객이 외로움 평가 설문(5문항)을 작성한 후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면은 무료로 제공되며, 평가 결과에 따라 이용 가능 횟수가 조정됩니다. 심리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문 상담가가 상주해 즉시 연계가 가능합니다.

Mì ăn liền trong trung tâm cộng đồng ở Dongdaemun. Ảnh: Guardian

한 이용자인 엄미희(53세) 씨는 “몸이 좋지 않아 따뜻한 족욕이 큰 도움이 된다”며 “집에 혼자 있으면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는데, 이곳이 있어서 밖에 나올 이유가 생겼다”고 말했습니다.

사회복지사 유동헌 씨는 “초기 예상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서울시 내 다른 구뿐 아니라 김포, 의정부, 안산 등 외부 도시에서도 찾아온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이날 아침에는 여러 차례 자살 시도를 했던 방문자가 찾아와 즉시 복지기관과 연결되었다고 전했습니다.

센터에서 활동 중인 자원봉사자 이인숙 씨는 주 1회 이곳에서 ‘치유 활동 상담’을 제공합니다. 그녀는 “외로움에 대한 즉각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함께 공감하며 귀 기울이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10년 전 이혼 후 두 자녀를 혼자 키우며 절망에 빠졌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는 타인의 회복을 돕고 있는 그녀는 이렇게 말합니다.
“청년은 미래와 일자리로 고민하고, 중년은 경제적 어려움과 퇴직, 노인은 빈곤과 건강 문제에 부딪힙니다.
하지만 이 공간에서는 말하지 않아도 괜찮고, 아무런 부담 없이 머물 수 있습니다.
그게 바로 진정한 사람 간의 연결이고, 돈으로도 살 수 없는 가치입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AI 경쟁에서 ‘한강의 기적’ 재현 꿈꾼다…미·중과 어깨 나란히 도전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인공지능(AI)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세 번째 주자’로 부상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놓고 있다.
30-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오픈AI에 도전하는 한국의 5대 토종 인공지능

한국이 구글과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맞서기 위해 자체 문화와 특성을 반영한 초거대 언어모델(LLM)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5개 국내 대표 기업을 선정해 지원에 나서며 ‘토종 AI’ 육성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본격화했다. 
30-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미국의 투자 요구에 이재명 대통령 “1997년 같은 금융위기 우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투자 요구를 보호장치 없이 수용할 경우, 1997년 외환위기와 유사한 금융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23-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IQ 204 ‘천재소년’ 백강현, 옥스퍼드대 지원 준비 소식 전해

IQ 204로 알려진 한국의 천재소년 백강현(12)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입학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15-09-2025 한국 이야기
photo

한국 대기업 ‘재벌’에서 본 빈그룹의 부채 이야기

한국의 재벌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매우 높은 금융 레버리지를 활용했으며, 이는 현재 산업 부문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베트남 빈그룹(Vingroup)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15-09-2025 한국 이야기
quang-cao